[카테고리:] 주택사업
-
서울시는 전역이 대공방어협조구역이다
서울시는 전지역이 대공방어협조구역(위탁고도 77-257m)이다. 현재 서울시에서 있는 대공진지는 63빌딩, IFC몰, 파크원 등에 위치해 있다. 주택사업 인허가 시 군에 협의를 요청하게 되는데, 2024년 군에서 50층(서초동 진흥아파트), 40층(도봉구 쌍문한양), 45층(창동상아1차) 등 상당한 높이로 짓는 아파트 재건축 5곳에 대공진지 구축을 요구한 일이 있었다. 군에서 지역마다 설치하고자 하는 높이가 다르다. 관련 법률은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 보호법>이다. 대공방어협조구역(위탁고도:77-257m) 대공방어작전을 보장하기…
-
공동주택 공원녹지 설치 기준(1천세대 이상)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주택건설사업계획을 할 때 1천세대 이상인 경우 공원 또는 녹지를 확보해야 한다.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 약칭: 공원녹지법 )제14조(도시공원 또는 녹지의 확보) ② 다음 각 호의 계획(이하 “개발계획”이라 한다)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규모 이상의 개발을 수반하는 개발계획을 수립하는 자는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도시공원 또는 녹지의 확보계획을…
-
고급주택, 초호화주택 기준(취득세 중과)
공동주택의 경우, 전용면적이 245㎡(복층인 경우 274㎡)를 초과하면 고급주택으로 분류된다. 이에 따라 취득세율이 높아진다. 고급주택을 면적으로 규정하다 보니 건축업계에서는 이를 피하는 ‘꼼수’가 관행처럼 자리 잡고 있다. 서울 한남·청담동 같은 부촌 지역에 공급된 초고가 주택들 중에 전용면적 244㎡가 많은 이유다. 서울 강남 일대 고급주택 건설현장에서는 ‘1㎡ 마법’이란 말이 있다. 취득세가 중과되는 고급주택 면적 기준보다 1㎡ 내로 작게 집을…
-
분양가상한제 대상지역 및 산정 기준
주택법 제57조(주택의 분양가격 제한 등) ① 사업주체가 제54조에 따라 일반인에게 공급하는 공동주택 중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지역에서 공급하는 주택의 경우에는 이 조에서 정하는 기준에 따라 산정되는 분양가격 이하로 공급(이에 따라 공급되는 주택을 “분양가상한제 적용주택”이라 한다. 이하 같다)하여야 한다. <개정 2021. 7. 20., 2023. 12. 26.>1. 공공택지2. 공공택지 외의 택지에서 주택가격 상승 우려가…
-
LH 공동주택용지 공급공고 신청자격
LH 공동주택용지 공급공고 신청자격은 다음과 같다. 신청할 수 있는 자격은 1순위와 2순위로 구분된다. 1순위는 조건이 까다롭고, 만약 1순위에서 매각되지 않아 2순위까지 신청할 수 있게 되면, 2순위 조건은 단순하다. 1순위는 1부터 7까지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하고, 2순위는 주택건설사업자로 등록되어 있기만 하면 된다. 1순위공고일(2025.3.11.) 현재 아래 ①, ②, ③, ④, ⑤, ⑥, ⑦의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자①…
-
재개발, 재건축 신탁사업에 대한 이해
재개발, 재건축 신탁사업에 대해 알아보자.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이 2016년 개정되며 신탁업자가 재개발, 재건축사업의 시행자가 될 수 있게 되었다. 토지신탁의 종류 중 도시정비사업(신탁방식)이 된다. 차입형 토지신탁과 유사한 방식이다. 도시정비사업(신탁방식)은 신탁사에 따라 다르지만 매출에 있어 큰 비중을 차지한다. 한국토지신탁의 경우 2023년 수주비중이 과반을 넘었다. - 토지신탁은 위탁자에게 토지 등의 자산을 수탁받아 신탁회사가 인허가, 시공 및 분양, 입주…
-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 의무대상
제로에너지 건축물 인증은 언제 시행하나? 2024년 1월 4일 발표한 <2024년 경제정책방향>에서 제로에너지 건축 의무화 시행이 1년 유예하기로 했다. 민간 공동주택 제로에너지 건축 의무화 시행을 1년 유예(’24→’25년)건축물 에너지인증제*를 ‘제로에너지건축물(ZEB) 인증’으로통합하고, ZEB 인증 필요등급 상향 대상(용도·규모)** 확정(‘24.上) * (現)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제‘와 ’제로에너지건축물인증‘을 개별적으로 운영 ** (現) 공공건축물 5백㎡ 및 공공주택 30세대 이상 신축 시 ZEB 인증 5등급 의무취득…
-
서울 종로구 사직2구역 도시환경정비사업
사직2구역 도시환경정비사업 사직2구역은 2005년 롯데건설을 시공사로 선정하여 추진했으나 지지부진했다. 2022년 12월 17일 삼성물산을 다시 시공사로 선정했다. 사업시행인가와 관리처분인가는 2012년에 득하였다. 출처 입지는 매우 우수하다. 광화문과 서울시청 접근성이 좋고, 인근에 경복궁, 경희궁, 덕수궁 등의 궁궐과 사직공원, 교육청어린도서관, 종로도서관 등이 있고, 북쪽으로는 인왕산 산책로/등산로가 있다. 약 3만 4천 제곱미터 면적을 대상으로 하며 조성되는 세대수는 403세대이다. 인근 사직1구역…
-
2023년까지 전세 가격 변화(전국, 서울, 부산)
서울과 부산의 전세 시세 전세가격은 2022년 10월부터 급락하기 시작했다. 서울은 2023년 8월까지 하락하였고, 저점을 찍고 상승하는 추세이다. 부산은 2022년 10월 급락 이후 하락폭이 완만해지고 있으나 아직 추세가 반전되지는 않았다. 매매가격 변동을 보기 위해서는 전세가격을 열심히 살펴보아야 한다. 서울은 올해부터 아파트 입주물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아파트 공급 부족에 시달릴 수 있다. 2025년 입주 물량이 다소 늘긴 하지만…
Recent Posts
- 서울시 역세권 활성화사업 운영기준에 따른 대상지 요건
- 정비사업의 임대주택 및 주택규모별 건설비율
- 공원녹지 확보 기준 (지구단위계획 수립, 주택사업계획 등)
- 주택법 대지의 소유권 확보를 위한 매도청구
- 지목이 전,답 농지더라도 도로 등으로 이용현황이 다르면 농지로 보지 않는다
Tags
3기신도시 2040 UAM 개발부담금 개발신탁 건축 건축가 공간혁신구역 공공폐수처리시설 공동주택 공원녹지 공장 관리형토지신탁 광주광역시 김수근 네거티브 노먼 포스터 도시개발사업 도시환경정비사업 르코르뷔지에 리움미술관 무악동 부동산 분양가상한제 사전협상 산업단지 산업시설용지 삼표부지 서울시 서울창조타운 설치기준 성수동 세대수 신탁사업 아파트 안양도시기본계획 용인국가산업단지 재개발 재건축 지구단위계획 지도 차입형토지신탁 취득세 프리츠커상 해외건축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