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파엘 모네오가 대한민국에 지은 건축물
라파엘 모네오는 스페인의 건축가로 1996년에 프리츠커상을 수상한 세계적인 건축가이다. 1966년부터 마드리드대학 건축학과 교수로 부임했다. 미국 프린스턴대, 하버드대, 스위스 로잔대 등에서 방문교수, 1980년부터 1984년까지 마드리드대 건축학 과장, 1984년부터 1990년까지 하버드대 건축대학원 학과장을 지냈고, 1990년에 스페인으로 돌아왔다. 대표작으로는 스페인 메리다에 지은 국립 로마 예술 박물관(National Museum of Roman Art)과 스톡홀롬 현대미술관(Moderna Museet·Museum of Modern Art in Stockholm),…
-
알바루 시자가 대한민국에 지은 건축물
알바루 시자(Álvaro Joaquim de Melo Siza Vieira)는 포르투갈의 현대 건축가다. 포르투갈 근교, 마토지뉴스에서 태어났고, 초기 모더니즘 건축에 비판적이었다. 사용자를 배려한 기능을 추구하는 건축가로 잘 알려져 있다. 대표작으로 포르투 세할베스 현대 미술관, 아베이루대학교 도서관, 리스본 엑스포 파빌리온 등이 있다. 프리츠커상과 베니스 건축 비엔날레 황금사자상을 수상했다. 이 정도 수준에 이른 건축가로 저는 두 사람을 꼽고 싶습니다. 포르투갈의 대표 건축가인 알바로 시자와……
-
이타미 준이 대한민국에 지은 건축물
이타미 준은 유동룡(庾東龍)이라는 이름으로 태어나 일본에서 활동한 재일 한국인 건축가이다. 이타미 준은 이타미 공항의 이름에서 따온 예명이다. 이타미 준은 자연을 존중하며 건축을 설계했다. 건축은 인간에 대한 찬가이자 자연 속에서 인간의 더 나은 삶을 위해 바치는 또 다른 자연이라고 말했다. 이타미 준의 대표작품으로는 방주교회, 무라노도 미술관, 석채의 교회 등이 있다. 국내 건축 우리나라에 지은 건축물은 다음과 같습니다. 제주 수풍석 뮤지엄제주 포도호텔제주 방주교회경주타워 경주타워는 이타미 준의 작품으로 인정 받기까지 안타까운…
-
자하 하디드가 대한민국에 지은 건축물
자하 하디드(Zaha Hadid)는 이라크에서 태어난 영국의 건축가다. 해체주의 건축으로 유명하다. 곡선적인 디자인과 혁신적인 건축 기술을 보여준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건축물을 많이 설계했는데 다음의 건축물이 있다. 비트라 소방서 – 바일 암 라인, 독일로즈센터 – 뮌헨, 독일국제 비즈니스 센터 – 광저우, 중국리버사이드 박물관 – 그라스, 오스트리아리치움 아카데미 – 런던, 영국동경 도쿄 나라 기술 연구소 – 도쿄, 일본국립 미술관 – 부다페스트, 헝가리 국내 건축, DDP 우리나라에 지은 건축물로는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가 유일하다. 동대문디자인플라자는 평이 극과 극을 오가는 건축으로, 건축비만 5천억원이 들었다. 서울시청 신청사를 짓는데 3,000억원이 들었으니 공공이 발주한 건축 중 이보다 많이 든 건축을…
-
벤 판 베르컬이 대한민국에 지은 건축물
벤 판 베르컬(Ben van Berkel)은 네덜란드의 건축가다. 잠깐 이야기하고 넘어가자면, 네덜란드인의 성 앞에는 van이 많이 들어간다. 빈센트 반 고흐, 마르코 판바스턴, 버질 판데이크, 로빈 판페르시, 도니 판더베이크, 아민 반뷰렌 등이다. 빈센트 반 고흐는 우리에게 익숙해서 그렇지, 네덜란드 표기법에 따르면 핀선트 빌럼 판호흐로 적어야 한다. 판은 출신지 내지는 가문을 뜻하는 전치사이다. 영어에서 쓰는 of와 비슷한 뜻이라고…
-
유현준, 인문 건축 기행 지도(30곳)
1. 빌라 사보아 : 르 코르뷔지에, 피에르 잔느레2. 퐁피두센터 : 렌초 피아노, 리처드 로저스, 잔프랑코 프란치니3. 루브르 유리 피라미드 : 이오밍 페이4. 롱샹 성당 : 르 코르뷔지에5. 라 투레트 수도원 : 르 코르뷔지에6. 피르미니 성당 : 르 코르뷔지에7. 유니테 다비타시옹 : 르 코르뷔지에8. 독일 국회의사당 : 노먼 포스터9. 브루더 클라우스 필드 채플 : 페터 춤토르10.…
-
율촌 테크밸리
율촌지구 개발사업은 ‘미래형 복합신도시’ 조성을 위해 추진하는 사업으로 사업비 1.1조원을 투입해 주거용지, 산업시설용지, 물류유통용지, 공공용지 등을 조성한다. 사업기간은 2029년 준공을 목표로 한다. 1만 5천 세대, 3만 5천명의 인구 유입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전남도는 이를 위해 해당 부지를 2026년 7월까지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했다.
Recent Posts
- 노인복지주택 분양형 재도입(2025년 4월 현재 개정 전)
- 분양가상한제 미적용 방법
- 도시개발법에 따른 임대주택용지 공급 규정
- 서울시는 전역이 대공방어협조구역이다
- 공동주택 공원녹지 설치 기준(1천세대 이상)
Tags
3기신도시 1936년 2040 UAM 개발부담금 개발이익환수 건축 건축가 경희궁자이 공공폐수처리시설 공장 김수근 도시개발사업 도시계획 도시환경정비사업 르코르뷔지에 리움미술관 마래푸 마포래미안푸르지오 무악동 민간투자사업 부대사업 부동산 분양가상한제 사직 산업단지 산업시설용지 삼성전자 설치기준 세대수 시스템반도체클러스터 아파트 용인 이윤율 인천군부대이전사업 일제 제2구역 조례 지구단위계획 지도 참여자 취득세 프리츠커상 해외건축가 행정구역